■ 진행 : 윤보리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철진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NOW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상호관세 25%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. 관세 리스크에도 코스피는 장중 3,100선을 회복했는데요.관련 내용과 물가, 부동산 등 다양한 경제 이야기정철진 경제평론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봅니다. 안녕하십니까? 저희가 앞서 보도를 해 드렸는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 제품에 8월 1일부터 25%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사실상 협상이 연기됐다고 봐야 되겠죠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 그렇습니다. 두 가지 측면 봐야 될 것 같은데요. 일단 첫 번째, 트럼프의 관세 레터에 처음에는 우리나라가 포함될지 말지도 잘 몰랐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우리나라와 일본이 가장 먼저 공개가 됐고요. 앞서 영상을 보셨지만 백악관 래빗 대변인이 편지 자체를 우리나라를 샘플로 같이 공개하는 그런 포석이 있었습니다. 왜 한국과 일본을 가장 먼저 꺼내들었는가. 조금 이따 한번 또 보겠지만 가장 우방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겠습니까? 그러니까 오히려 더 트럼프 입장에서는 먼저 공격하고, 가장 좋은 합의를 이끌어내려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이 들고요. 내용을 보면 25% 관세율. 이게 4월에 처음 한국에게 제시했던 그 관세율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. 저도 간밤에 이걸 지켜봤었는데 제가 걱정했던 부분은 일본을 35% 엄포를 놨었잖아요. 그래서 행여나 25%가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을 우리에게 부과하면 어떻게 할까라는 우려였는데 일단 25%. 일본은 24였는데 1%포인트 높인 25. 그러니까 우리나라와 일본은 같은 25%였고요. 앞서 증시 얘기를 잠깐 해 주셨는데 유예기간을 은근슬쩍 또 준 거예요. 원래대로 하면 7월 9일부터 시행돼야 되는데 실행 시점은 8월 1일, 그러니까 3주간의 협상 기한은 더 있다라는 것을 우회적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오늘 국내 증시가 시작하자마자 떨어지지도 않았습니다. 그래서 바로 상승폭을 키워서 현재 제가 들어오기 직전에 1%대 상승을 유지했었고 외환시장도 역외 환율이라고 하죠. 이거 발표되고 간밤 뉴욕증시에서 SK텔레콤, LG디스플레이 7%씩 급락, 폭락할 때 환율이 1377원까지 갔거든요. 그런데 지금 우리 외환시장 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70812575284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